안녕하세요, 블로거 리밋넘기입니다. 지난 포스팅들을 통해 나르시시스트의 유형과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가장 많이 받았던 질문 중 하나가 바로 "그래서, 나르시시스트도 변할 수 있나요?"였습니다. '내가 좀 더 노력하면...', '치료를 받으면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희망 섞인 질문들이었죠. 그 마음에 깊이 공감합니다.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가장 전문적인 답변을 드리기 위해, **유튜브 채널 '뇌부자들'의 원은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설명 영상의 핵심 내용을 토대로 글을 작성했습니다. 과연 그들은 변할 수 있을지, 그 현실적인 가능성의 문을 함께 열어보시죠. 😊
치료가 어려운 근본적인 이유: 그들은 '결함'을 마주할 수 없다 🤔
원은수 전문의에 따르면, 나르시시스트의 치료가 그 어떤 성격 문제보다 어려운 이유는 매우 단순하고도 명확합니다. 바로 **치료의 핵심 과정이 그들이 가장 회피하고 싶어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정신 분석 및 상담 치료는 자신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있는 결함과 불안정한 자존감을 들여다보고 인정하는 과정에서 시작됩니다
하지만 나르시시스트는 평생 동안 이 결함을 숨기기 위해 '자기애'라는 단단한 갑옷을 만들어 온 사람들입니다. 그들에게 자신의 결점을 마주하는 것은 극도의 수치심과 자존감의 붕괴를 의미하기에, 치료 과정 자체를 위협으로 느끼고 저항하거나 중단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cite_start]우울감이나 대인관계 문제로 상담을 시작하더라도, 근본적인 성격 문제를 다루기 시작하면 견디지 못하고 도망가는 패턴을 보이는 것이죠
만약 나르시시스트가 타인에게 해를 가하면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반사회성 성격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면, 소위 '악성 나르시시스트'로 불립니다.이 경우는 공감 능력과 도덕성이 현저히 손상된 상태이므로, 치료를 통한 변화 가능성은 훨씬 희박해집니다.
변화의 가능성, 얼마나 될까? 📊
그렇다면 변화의 가능성은 전혀 없는 걸까요? 원은수 전문의는 '불가능'이라고 단정하지는 않지만, 매우 어렵고 엄격한 조건이 필요하다고 설명합니다. 세계적인 전문가의 강의를 인용하여, 자기애성 성격장애 수준의 치료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치료 성공의 조건 | 내용 (프랭크 요만 교수 기준 인용) |
---|---|
치료 빈도 | 최소 일주일에 2회 이상 꾸준한 면담 |
치료 기간 | 최소 4년 이상의 장기적인 치료 |
핵심 조건 | 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 본인의 매우 강력한 동기와 끈기 |
결국 변화의 가능성은 나르시시즘의 정도와 본인의 의지에 달려있습니다. 만약 성격 '장애' 수준이 아닌 일부 '성향'만 가지고 있고, 건강한 측면이 남아있다면 상담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가 변할 수 있을지 없을지에 대한 희망이나 기대로 우리의 에너지를 쏟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그들의 변화는 오롯이 그들 자신의 몫입니다. 우리는 그저 '나 자신을 지키는 방법'에만 집중하고, 그들의 문제에서 스스로를 분리해내는 것이 현명합니다.
나르시시스트 치료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그 사람이 변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여정은 결국 '나는 나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오늘 영상의 내용이 그 길을 찾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