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5년 먼저' 받으면 평생 30% 손해? 당장 몇 푼이 급해서 평생 받을 연금을 깎아 먹는 선택, 괜찮을까요? 국민연금 조기수령과 연기연금의 수익률을 직접 비교하고, 언제 연금을 받는 것이 가장 유리한지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00세 시대의 현명한 노후 설계를 돕는 리밋넘기입니다. 최근 은퇴를 앞두신 저희 아버지가 "국민연금, 5년 먼저 당겨 받을까?" 하고 고민하시더라고요. 당장 소득이 끊기니 생활비가 필요하다는 이유였죠. 언뜻 들으면 합리적인 선택 같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직접 계산기를 두드려보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일찍 받는 대신 조금 깎이는' 수준이 아니었습니다. 한번 감액된 연금액을 평생동안 받아야 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훨씬 큰 손해더군요. 오늘 그 충격적인(?) 계산 결과를 공유하며, '조기수령'과 '연기수령' 중 어떤 것이 나에게 가장 유리한 선택일지 냉정하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

 

https://www.thereisnolimit24.kr/2025/07/2025-65.html


시작 전, 내 연금 수령 나이부터 확인하기 🗓️

조기수령과 연기수령을 이해하려면, 먼저 내가 100%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정상적인 수급 개시 연령'을 알아야 합니다. 이 나이는 출생연도에 따라 다릅니다.

출생연도 연금 수급 개시 연령
~ 1952년생 만 60세
1953 ~ 1956년생 만 61세
1957 ~ 1960년생 만 62세
1961 ~ 1964년생 만 63세
1965 ~ 1968년생 만 64세
1969년생 이후 ~ 만 65세

 

조기수령: 5년 먼저 받는 대신, 평생 30% 손해 📉

조기노령연금은 법정 수급 연령보다 최대 5년 먼저 연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공짜'는 없습니다. 1년 일찍 받을 때마다 연금액이 6%씩 깎이며, 5년을 모두 당겨 받으면 원래 받을 금액의 70%만, 즉 30% 감액된 금액을 평생 받게 됩니다.

 

연기연금: 5년 늦게 받는 대신, 평생 36% 이득 📈

연기연금은 조기수령의 정반대 개념입니다. 수급 연령이 되었지만 연금을 받지 않고 최대 5년까지 미룰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1년 연기할 때마다 연금액이 7.2%씩 늘어나며, 5년을 모두 연기하면 원래 받을 금액보다 36% 증액된 금액을 평생 받게 됩니다.

 

수익률 비교: 언제 손익분기점을 넘을까? (시뮬레이션) 📊

1969년 이후 출생자로, 만 65세에 월 100만원을 받는다고 가정해봅시다. 세 가지 선택에 따른 나이별 총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선택 (월 수령액) 70세 총수령액 80세 총수령액 90세 총수령액
조기수령 (월 70만원) 8,400만원 1억 6,800만원 2억 5,200만원
정상수령 (월 100만원) 6,000만원 1억 8,000만원 3억원
연기수령 (월 136만원) 0원 1억 6,320만원 3억 2,640만원

표에서 보듯이, 80세가 넘어가면서부터 정상수령과 연기수령의 총수령액이 조기수령을 크게 앞지르기 시작합니다. 기대수명이 늘어난 요즘, 90세까지 산다고 가정하면 조기수령은 연기수령에 비해 무려 7,440만원이나 적게 받게 됩니다.

⚠️ 가장 중요한 사실: 이 결정은 되돌릴 수 없습니다!
한 번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해서 받기 시작하면, 다시는 정상연금이나 연기연금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평생 감액된 금액을 받아야 하므로 정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조기수령 vs 연기수령 핵심 비교

조기수령: 1년마다 6%씩 감액 (최대 5년, 30% 감액)
연기수령: 1년마다 7.2%씩 증액 (최대 5년, 36% 증액)
손익분기점:
80세 전후로 연기연금의 총수령액이 조기수령을 역전

 

그렇다면 나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 조기수령이 나을 수 있는 경우
솔직히,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추천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기대여명이 길지 않다고 판단되거나, 다른 소득이 전혀 없어 당장의 생계가 절박한 경우에만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연기연금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경우
건강하고, 은퇴 후에도 다른 소득(개인연금, 부동산 소득 등)이 있어 국민연금 없이도 몇 년간 생활이 가능한 경우입니다. 장수 리스크에 대비하는 가장 강력한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시점 선택은 단순히 몇 년 빨리 받고 늦게 받는 문제가 아니라, 나의 남은 평생의 현금 흐름을 설계하는 매우 중요한 재무적 결정입니다. 부디 오늘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고민하여, 후회 없는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