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마트한 재테크를 돕는 리밋넘기입니다. 연말정산을 하거나 문득 미래를 생각할 때, '내 국민연금은 잘 쌓이고 있나? 나중에 은퇴하면 한 달에 얼마를 받게 될까?' 궁금해 본 적 없으신가요? 저도 예전에는 이게 궁금해도 PC를 켜고,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찾아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너무 귀찮아서 매번 미루기만 했습니다. 😅
그런데 요즘은 세상이 정말 좋아졌습니다. 제가 직접 해보니, 스마트폰 간편인증 하나로 1분도 채 걸리지 않고 내 노후 연금을 확인할 수 있더라고요. 오늘은 제가 직접 사용해보고 가장 빠르고 간편했던 방법, 바로 국민연금공단 공식 앱 '내 곁에 국민연금'을 이용한 조회 방법을 A to Z까지 알려드릴게요! 😊
준비물: 스마트폰과 간편인증만 있으면 OK!
복잡한 준비물은 필요 없습니다. 스마트폰과, 본인 확인을 위한 간편인증 수단만 있으면 됩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이미 사용하고 계시는 아래 인증서 중 하나만 있으면 바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 네이버 인증서
- 카카오페이 인증서
- 토스, PASS 등 기타 금융인증서
https://www.thereisnolimit24.kr/2025/07/2025-65.html
'내 곁에 국민연금' 앱으로 1분 만에 조회하기 (Step-by-Step) 📱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해볼까요? 아래 단계를 그대로 따라오세요.
- 1단계. '내 곁에 국민연금' 앱 설치하기
사용하시는 스마트폰의 앱 스토어(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내 곁에 국민연금'을 검색하여 공식 앱을 설치합니다. - 2단계.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하기
앱을 실행하고 '간편인증 로그인'을 선택하세요. 여러 인증서 목록이 나타나면, 본인이 사용하는 네이버, 카카오페이 등의 인증서를 선택하여 비밀번호나 생체인증으로 간편하게 로그인합니다. 공동인증서 로그인보다 훨씬 빠릅니다. - 3단계. '예상연금조회' 메뉴 클릭하기
로그인 후 나타나는 메인 화면에서 '전체조회'를 누르거나, 우측 상단의 전체 메뉴(석 삼 모양 아이콘)를 눌러 '예상연금조회' 또는 '예상노령연금' 메뉴를 찾아 클릭합니다. - 4단계. 결과 확인하기!
이제 끝났습니다! 화면에 "회원님께서 만 65세부터 평생 동안 매월 받으실 예상연금액은 OOO원 입니다." 와 같은 안내와 함께 상세한 금액이 나타납니다.
조회 결과에는 여러 기준의 금액이 나올 수 있습니다. - 현재가치 기준: '만약 지금 당장 국민연금 납부를 중단한다면?'을 가정한 금액입니다. 지금까지 납부한 내역만을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 미래가치 기준: '현재 소득 수준을 유지하며, 연금 수급 개시 연령까지 계속 납부한다면?'을 가정한 금액입니다. 우리가 보통 궁금해하는 실질적인 예상수령액에 가깝습니다.
조회된 금액은 말 그대로 '예상액'입니다. 향후 소득 변화, 국민연금 정책의 변경, 물가상승률 등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노후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민연금 1분 조회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먼 미래의 일'이라고만 생각했던 국민연금, 이렇게 직접 내 눈으로 예상 금액을 확인하고 나면 훨씬 현실적으로 다가옵니다. 1년에 한 번씩이라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내 노후를 위한 재무 계획을 세워보는 스마트한 습관을 들여보시는 건 어떨까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